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by kimkong 2025. 7. 5.

정부에서 시행 중인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를 통해 공연, 영화, 도서 구입 등 문화생활에 사용한 금액을 소득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문화비 소득공제의 개념부터 대상, 신청 방법까지 간단하게 확인하고, 공제 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해 보세요!

 

 

[ 목차 ]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알아보기

     

    1.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란?

     

    문화비 소득공제란?

    직장인이 책, 공연, 박물관·미술관 입장권, 신문 구독료, 영화, 수영장·헬스장 이용권 등을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결제했을 때, 연 300만 원 한도(전통시장·대중교통 공제 포함) 내에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수영장과 헬스장은 2025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돼요)

     

    🎉 문화비 소득공제, 해마다 더 넓어졌어요!

    📅 적용 시기 ✅ 공제 항목 📝 비고
    2018.07.01 도서, 공연비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 시작
    2019.07.01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 문화시설 입장료 공제 확대
    2021.01.01 종이신문 구독료 정기 구독료도 공제 가능
    2023.07.01 영화 관람료 2023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
    2025.07.01 예정 수영장, 체력단련장 이용권 2025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 예정

     

     

    문화비 소득공제받으려면?

    반드시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사업자에게서 문화비 상품을 구매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대표적인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

     

    예) 만약 내가 헬스장을 이용하고 있고, 소득공제를 받고 싶다면 반드시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헬스장인지 확인한 후 결제해야 합니다.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알아보기

     

    위 사진처럼, 문화비 소득공제가 가능한 헬스장은 한국문화정보원의 대상사업자 조회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 사업자 확인하기

     

    2.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및 신청하기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대상

    구분 내용
    신청 대상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연간 카드 등 사용금액이 총 급여의 25% 초과 시 가능
    결제 수단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현금영수증,
    간편결제(제로페이, 카카오페이 등), 문화상품권 등 다양함
    공제 대상 도서, 공연티켓, 박물관·미술관 입장권, 종이신문 구독권,
    영화티켓, 수영장·체력단련장 이용권
    (2025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

     

    결제 방법 고민하지 마세요!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에게 등록된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모두 적용 가능합니다.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결제수단

     

    대상 여부를 꼭 확인하셨다면, 망설이지 말고 신청하세요! 연말정산을 통해 문화비 지출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아 더 많은 절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바로가기

     

    3. 마무리

     

    근로소득자라면 꼭 확인해야 할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꿀팁을 마무리하며 인사드립니다. 아래에서 다양한 생활정보도 확인하시고, 놓치고 있는 혜택은 없는지 꼭 점검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