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시행 중인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를 통해 공연, 영화, 도서 구입 등 문화생활에 사용한 금액을 소득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문화비 소득공제의 개념부터 대상, 신청 방법까지 간단하게 확인하고, 공제 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해 보세요!
[ 목차 ]
1.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란?
문화비 소득공제란?
직장인이 책, 공연, 박물관·미술관 입장권, 신문 구독료, 영화, 수영장·헬스장 이용권 등을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결제했을 때, 연 300만 원 한도(전통시장·대중교통 공제 포함) 내에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수영장과 헬스장은 2025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돼요)
🎉 문화비 소득공제, 해마다 더 넓어졌어요!
📅 적용 시기 | ✅ 공제 항목 | 📝 비고 |
---|---|---|
2018.07.01 | 도서, 공연비 |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 시작 |
2019.07.01 |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 | 문화시설 입장료 공제 확대 |
2021.01.01 | 종이신문 구독료 | 정기 구독료도 공제 가능 |
2023.07.01 | 영화 관람료 | 2023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 |
2025.07.01 예정 | 수영장, 체력단련장 이용권 | 2025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 예정 |
문화비 소득공제받으려면?
반드시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사업자에게서 문화비 상품을 구매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대표적인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
예) 만약 내가 헬스장을 이용하고 있고, 소득공제를 받고 싶다면 반드시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헬스장인지 확인한 후 결제해야 합니다.
위 사진처럼, 문화비 소득공제가 가능한 헬스장은 한국문화정보원의 대상사업자 조회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및 신청하기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대상
구분 | 내용 |
---|---|
신청 대상 |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연간 카드 등 사용금액이 총 급여의 25% 초과 시 가능 |
결제 수단 |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현금영수증, 간편결제(제로페이, 카카오페이 등), 문화상품권 등 다양함 |
공제 대상 | 도서, 공연티켓, 박물관·미술관 입장권, 종이신문 구독권, 영화티켓, 수영장·체력단련장 이용권 (2025년 7월 결제분부터 적용) |
결제 방법 고민하지 마세요!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에게 등록된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모두 적용 가능합니다.
대상 여부를 꼭 확인하셨다면, 망설이지 말고 신청하세요! 연말정산을 통해 문화비 지출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아 더 많은 절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3. 마무리
근로소득자라면 꼭 확인해야 할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꿀팁을 마무리하며 인사드립니다. 아래에서 다양한 생활정보도 확인하시고, 놓치고 있는 혜택은 없는지 꼭 점검해 보세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민생지원금 신청 기간·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7.07 |
---|---|
출국납부금 환급서비스 바로 받아가세요! (0) | 2025.07.05 |
맛있는 하이볼 추천 및 하이볼 만드는 법 총정리 (0) | 2025.06.29 |
냉난방비 지원 에너지바우저 한번에 신청하기 (0) | 2025.06.28 |
국내 온천 숙소 추천 5곳, 커플&가족 모두 반한 진짜 휴식처 (0) | 2025.06.26 |